1) 윈도우즈 설치
i) USB 메모리 스틱으로 부팅
2) 윈도우즈 업데이트 및 각종 칩셋 업데이트
3) 백신 설치 : AOL Active Virus Shield
4) 서비스 설정
5) 디스플레이 설정
6) 기타 설정
i) USB 메모리 스틱으로 부팅
- gdisk 로 파티션 삭제 : gdisk 디스크번호 /del /all
gdisk 디스크번호 /mbr
- 파티션 설정 : 파티션 매직으로 설정한다. 파티션 크기는 때에 따라..
Gdisk 는 NTFS 로 포맷을 하지 못하고, 윈도우즈 시디에 있는 diskpart 를
이용할 경우 실수하면, 두번째 파티션이 논리 드라이브로 잡힐 수 있다.
파티션 매직을 이용할 경우 동적디스크를 위한 영역인 7.8MB 를 비할당
영역으로 남겨둘 것.
ii) 윈도우즈 시디 넣고 윈도우즈 설치gdisk 디스크번호 /mbr
- 파티션 설정 : 파티션 매직으로 설정한다. 파티션 크기는 때에 따라..
Gdisk 는 NTFS 로 포맷을 하지 못하고, 윈도우즈 시디에 있는 diskpart 를
이용할 경우 실수하면, 두번째 파티션이 논리 드라이브로 잡힐 수 있다.
파티션 매직을 이용할 경우 동적디스크를 위한 영역인 7.8MB 를 비할당
영역으로 남겨둘 것.
2) 윈도우즈 업데이트 및 각종 칩셋 업데이트
i) 랜카드 드라이버 설치 : 랜카드가 realtek 社 제품이 아닌 경우 대부분 잡지 못한다.
따라서 랜카드 드라이버는 미리 다운받아 손대지 않은 파티션에
놓아두던가, 다른 저장 매체를 이용해 옮겨야 한다.
ii) IP & DNS 설정
- NetBIOS 설치(NWLink IPX/SPX/NetBIOS 호환 트랜스포트 프로토콜)
- 일반 -> 인터넷 프로토콜(TCP/IP) -> 고급 -> WINS 에서 "NetBIOS 설정" 을
"TCP/IP 에서 NetBIOS 사용" 으로 바꾼다.
- 인증 탭에서 인증 관련 탭 전부 체크 해제.
iii) 윈도우즈 업데이트는 미리 다운 받아놓고 로컬에서 설치하는 편이 유리.
- 정품 인증 : 알아서
-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를 함께 설치할 것. .netframework 는 필요없음.
iv) 칩셋 드라이버 다운로드 : 윈도우즈 업데이트를 하는 동안..
v) 윈도우즈 업데이트 완료되면 재부팅 후 각종 드라이버 설치. 다시 재부팅
vi) 키보드 드라이버 교체 : PC/AT 101키 호환 키보드/USB 키보드(종류 3)
따라서 랜카드 드라이버는 미리 다운받아 손대지 않은 파티션에
놓아두던가, 다른 저장 매체를 이용해 옮겨야 한다.
ii) IP & DNS 설정
- NetBIOS 설치(NWLink IPX/SPX/NetBIOS 호환 트랜스포트 프로토콜)
- 일반 -> 인터넷 프로토콜(TCP/IP) -> 고급 -> WINS 에서 "NetBIOS 설정" 을
"TCP/IP 에서 NetBIOS 사용" 으로 바꾼다.
- 인증 탭에서 인증 관련 탭 전부 체크 해제.
iii) 윈도우즈 업데이트는 미리 다운 받아놓고 로컬에서 설치하는 편이 유리.
- 정품 인증 : 알아서
-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를 함께 설치할 것. .netframework 는 필요없음.
iv) 칩셋 드라이버 다운로드 : 윈도우즈 업데이트를 하는 동안..
v) 윈도우즈 업데이트 완료되면 재부팅 후 각종 드라이버 설치. 다시 재부팅
vi) 키보드 드라이버 교체 : PC/AT 101키 호환 키보드/USB 키보드(종류 3)
3) 백신 설치 : AOL Active Virus Shield
4) 서비스 설정
레지로 정리해놨지만, SP1 에 맞춰 정리한 터라 달라진 것이 너무 많아 요즘엔 거의 수동으로 조절하는 편이다.
- 자동 업데이트 : 사용안함
- Admin Works Agent X8 : Intel Desktop Utility 를 설치하니 생긴 놈.
- Alerter : 사용안함
- Application Layer Gateway Service : 사용안함
-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 : 사용안함
- COM+ Event System : 사용안함
- COM+ System Application : 사용안함
- Cryptographic Services : 사용안함
- DHCP Client : 사용안함
- Distributed Transaction Coordinator : 사용안함
- DNS Client : 사용안함
- Error Reporting Service : 사용안함
- Help and Support : 사용안함
- IMAPI CD-Burning COM Service : 사용안함
- Indexing Service : 사용안함
- IPSEC Services : 사용안함
- MS Software Shadow Copy Provider : 사용안함
- Net Logon : 사용안함
- NetMeeting Remote Desktop Sharing : 사용안함
- Network Provisioning Service
- NLA(Network Location Awareness) : 사용안함
- NT LM Security Support Provider : 사용안함
- Portable Media Serial Number : 사용안함
- Print Spooler : 사용안함
- QoS RSVP : 사용안함
- Remote Access Auto Connection Manager : 사용안함
-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: 사용안함
- Remote Desktop Help Session Manager : 사용안함
- Remote Procedure Call (RPC) Locator : 사용안함
- Remote Registry Service : 사용안함
- Removable Storage : 사용안함
- Security Accounts Manager : 사용안함
- Security Center : 사용안함
- Shell Hardware Detection : 사용안함
- Smart Card : 사용안함
- SSDP Discovery Service 사용안함
- System Event Notification : 사용안함
- System Restore Service : 사용안함
- Telephony : 사용안함
- Themes : 사용안함 : 이번엔 테마 테스트 때문에 켬
-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: 사용안함
-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Host : 사용안함
- Volume Shadow Copy : 사용안함
- WebClient : 사용안함
- Windows Driver Foundation - User-mode Driver Framework : 얼마전부터 생긴 것으로 차세대 윈도우즈 드라이버 모델이라나..
- Windows Firewall/Internet Connection Sharing (ICS) : 사용안함
- Windows Image Acquisition (WIA) : 사용안함
- Windows Time : 사용안함
- Wireless Zero Configuration : 사용안함
- WMI Performance Adapter : 사용안함
- 자동 업데이트 : 사용안함
- Admin Works Agent X8 : Intel Desktop Utility 를 설치하니 생긴 놈.
- Alerter : 사용안함
- Application Layer Gateway Service : 사용안함
-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 : 사용안함
- COM+ Event System : 사용안함
- COM+ System Application : 사용안함
- Cryptographic Services : 사용안함
- DHCP Client : 사용안함
- Distributed Transaction Coordinator : 사용안함
- DNS Client : 사용안함
- Error Reporting Service : 사용안함
- Help and Support : 사용안함
- IMAPI CD-Burning COM Service : 사용안함
- Indexing Service : 사용안함
- IPSEC Services : 사용안함
- MS Software Shadow Copy Provider : 사용안함
- Net Logon : 사용안함
- NetMeeting Remote Desktop Sharing : 사용안함
- Network Provisioning Service
- NLA(Network Location Awareness) : 사용안함
- NT LM Security Support Provider : 사용안함
- Portable Media Serial Number : 사용안함
- Print Spooler : 사용안함
- QoS RSVP : 사용안함
- Remote Access Auto Connection Manager : 사용안함
- Remote Access Connection Manager : 사용안함
- Remote Desktop Help Session Manager : 사용안함
- Remote Procedure Call (RPC) Locator : 사용안함
- Remote Registry Service : 사용안함
- Removable Storage : 사용안함
- Security Accounts Manager : 사용안함
- Security Center : 사용안함
- Shell Hardware Detection : 사용안함
- Smart Card : 사용안함
- SSDP Discovery Service 사용안함
- System Event Notification : 사용안함
- System Restore Service : 사용안함
- Telephony : 사용안함
- Themes : 사용안함 : 이번엔 테마 테스트 때문에 켬
-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: 사용안함
-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Host : 사용안함
- Volume Shadow Copy : 사용안함
- WebClient : 사용안함
- Windows Driver Foundation - User-mode Driver Framework : 얼마전부터 생긴 것으로 차세대 윈도우즈 드라이버 모델이라나..
- Windows Firewall/Internet Connection Sharing (ICS) : 사용안함
- Windows Image Acquisition (WIA) : 사용안함
- Windows Time : 사용안함
- Wireless Zero Configuration : 사용안함
- WMI Performance Adapter : 사용안함
5) 디스플레이 설정
i) 테마 : Windows 고전
ii) 화면보호기 : 없음
- 전원 : 전원 구성표 -> 항상 켜기
- 전원 : 고급 -> 컴퓨터가 대기 모드에서 나올 때 암호 묻기 해제
ii) 화면보호기 : 없음
- 전원 : 전원 구성표 -> 항상 켜기
- 전원 : 고급 -> 컴퓨터가 대기 모드에서 나올 때 암호 묻기 해제
6) 기타 설정
i) 작업표시줄
- 잠금 해제, 그룹으로 표시 해제, 빠른 실행 아이콘 표시 체크,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 숨기기
해제
- 시작 메뉴 : 이전 시작 메뉴
ii) 시스템 등록 정보
- 컴퓨터 이름 : 도메인 변경 ->작업그룹명 변경
- 고급 : 성능 -> 시각 효과 -> 최적 성능으로 설정
- 고급 : 성능 -> 고급 -> 메모리 사용 계획 ->시스템 캐쉬(안해도 됨)
- 고급 : 성능 -> 고급 -> 가상 메모리 : 그때그때 알아서 잘..
- 시작 및 복구 : 자동으로 다시 시작 해제(나머지는 오류 보고를 모니터링 해야하므로 살려둠)
- 환경 변수 : 램드라이브를 사용할 경우 Temp 폴더 변경
- 시스템 복원, 자동업데이트 안함
- 원격 : 원격 지원 해제, 원격 데스크탑 활성화
iii) 원격 데스크탑 패치 (http://qaos.com/article.php?sid=1631 참조)
- 레지 입력 : EnableConcurrentSessions.reg
- 파일 교체 : termsrv.dll : C:\WINDOWS\system32\dllcache 쪽부터 바꾸고, C:\WINDOWS\system32 쪽 변경, Windows 파일 보호 무시
- 사용자 암호 지정, 직원용 계정 생성
iv) IE 주소 표시줄 검색 엔진 변경
- 파일 교체 : shdoclc.dll : C:\WINDOWS\system32\dllcache 쪽부터 바꾸고, C:\WINDOWS\system32 쪽 변경
v) 탐색기 설정 변경
- 도구 -> 폴더 옵션 : 보기 -> 네트워크 및 프린트 자동 검색 해제, 미리 보기 캐쉬 안함 체크,
보호된 운영체제 파일 숨기기 해제,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 체크,
시스템 폴더 내용 표시 체크,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표시 체크
vi) ctfmon.exe 죽이기
- 국가 및 언어 옵션 -> 언어 -> 텍스트 서비스 및 입력 언어 -> 자세히 -> 한국어 -
한글 입력기(IME 2002) ->기본 설정 -> 입력 도구 모음 -> 바탕 화면에 입력 도구 모음
표시 해제
- cmd : %SystemRoot%\System32\Regsvr32.exe /u %SystemRoot%\System32\msimtf.dll
- cmd : %SystemRoot%\System32\Regsvr32.exe /u %SystemRoot%\System32\msctf.dll
-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ctfmon.exe 찾아 전부 지우기
vii) 마우스 커서 바꾸기 : Aqua : C:\WINDOWS\Cursors
viii) 윈도우즈 업데이트 백업 파일 삭제 : $hf~, $MS~, $nt~ 시리즈들..
ix) Prefetch 파일 삭제 : C:\WINDOWS\Prefetch
x) 내 문서 옮기기 : 물리적으로 다른 디스크 내지는 파티션으로 이동
- 잠금 해제, 그룹으로 표시 해제, 빠른 실행 아이콘 표시 체크,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 숨기기
해제
- 시작 메뉴 : 이전 시작 메뉴
ii) 시스템 등록 정보
- 컴퓨터 이름 : 도메인 변경 ->작업그룹명 변경
- 고급 : 성능 -> 시각 효과 -> 최적 성능으로 설정
- 고급 : 성능 -> 고급 -> 메모리 사용 계획 ->시스템 캐쉬(안해도 됨)
- 고급 : 성능 -> 고급 -> 가상 메모리 : 그때그때 알아서 잘..
- 시작 및 복구 : 자동으로 다시 시작 해제(나머지는 오류 보고를 모니터링 해야하므로 살려둠)
- 환경 변수 : 램드라이브를 사용할 경우 Temp 폴더 변경
- 시스템 복원, 자동업데이트 안함
- 원격 : 원격 지원 해제, 원격 데스크탑 활성화
iii) 원격 데스크탑 패치 (http://qaos.com/article.php?sid=1631 참조)
- 레지 입력 : EnableConcurrentSessions.reg
- 파일 교체 : termsrv.dll : C:\WINDOWS\system32\dllcache 쪽부터 바꾸고, C:\WINDOWS\system32 쪽 변경, Windows 파일 보호 무시
- 사용자 암호 지정, 직원용 계정 생성
iv) IE 주소 표시줄 검색 엔진 변경
- 파일 교체 : shdoclc.dll : C:\WINDOWS\system32\dllcache 쪽부터 바꾸고, C:\WINDOWS\system32 쪽 변경
v) 탐색기 설정 변경
- 도구 -> 폴더 옵션 : 보기 -> 네트워크 및 프린트 자동 검색 해제, 미리 보기 캐쉬 안함 체크,
보호된 운영체제 파일 숨기기 해제,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 체크,
시스템 폴더 내용 표시 체크,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표시 체크
vi) ctfmon.exe 죽이기
- 국가 및 언어 옵션 -> 언어 -> 텍스트 서비스 및 입력 언어 -> 자세히 -> 한국어 -
한글 입력기(IME 2002) ->기본 설정 -> 입력 도구 모음 -> 바탕 화면에 입력 도구 모음
표시 해제
- cmd : %SystemRoot%\System32\Regsvr32.exe /u %SystemRoot%\System32\msimtf.dll
- cmd : %SystemRoot%\System32\Regsvr32.exe /u %SystemRoot%\System32\msctf.dll
-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ctfmon.exe 찾아 전부 지우기
vii) 마우스 커서 바꾸기 : Aqua : C:\WINDOWS\Cursors
viii) 윈도우즈 업데이트 백업 파일 삭제 : $hf~, $MS~, $nt~ 시리즈들..
ix) Prefetch 파일 삭제 : C:\WINDOWS\Prefetch
x) 내 문서 옮기기 : 물리적으로 다른 디스크 내지는 파티션으로 이동
3. 프로그램 설정
1) 파이어폭스 설정
2) 오픈오피스 설정
3) Cygwin 설정
4) 기타 프로그램 설치 및 설정
기존 프로필을 삭제하고, 백업한 설정 파일을 복사해 넣음으로써 끝. -_-; 위치 : C:\Documents and Settings\사용자이름\Application Data\Mozilla\Firefox\Profiles
i) 기본 설정
- 시작페이지 : 이존 종료시 창과 탭
- 일반 : 다운로드 : 다운로드가 모두 끝나면 창을 닫기, 파일 저장할때 항상 물어보기
- 탭 : 다중 탭을 열어서 Firefox 가 느려질때 알려주기 해제
- 내용 : 자바 사용 체크 해제, 고급 탭의 내용 모두 체크 해제
- RSS : HanRSS
ii) 플러그인 설치 : Tabmix Plus, Mouse Gesture, FasterFox, Gmail Notifier, Firefox Universal Uploader
iii) Tabmix Plus
- 링크 : target 속성이 있는 링크를 현재 탭에 열기 해제
- 동작 : 탭을 열때 -> 새 탭으로 열 것 -> 전부 체크
탭 활성화 -> 탭으로 열때 탭을 활성화할 것 -> 전부 체크
- 겉모양 : 탭 막대 -> 탭 막대가 너무 길때 -> 여러 줄로 나누기
탭 -> 강조하기 -> 현재 탭 체크
- 마우스 : 마우스 클릭 -> 두번 클릭 -> 탭 위에서 -> 탭 다시 읽기
가운데 클릭 -> 탭 위에서 -> 모든 탭 다시 읽기
- 세션 : 내장된 세션 복구 기능 쓰기 해제
세션 관리자 사용 체크
iv) Mouse Gesture
- 일반 : 제스처 편집 -> 브라우저 -> 문서 닫기 -> D
- 보기 : 마우스 자취 남기기 체크
v) 기타 설정 : about:config
- 검색엔진 변경 : 구글과 네이버만 남기고 모두 삭제
- 기본 검색 변경
Keyword.URL => http://www.google.com/search?ie=UTF-8&lr=lang_ko&btnI=&q=
- 캐쉬 옮기기
생성 -> 문자열 browser.cache.disk.parent_directory : 캐쉬 디렉토리 주소
- Firefox 마우스 휠 감도 조절
mousewheel.withnokey.numlines : 1 => 12로 조정
mousewheel.withnokey.sysnumlines : True => False
- Firefox 속도 향상
검색어 : pipe
network.http.pipelining : true
network.http.pipelining.maxrequests : 4 => 25
검색어 : browser.sessionhistory
browser.sessionhistory_max_total_viewers : 0
i) 기본 설정
- 시작페이지 : 이존 종료시 창과 탭
- 일반 : 다운로드 : 다운로드가 모두 끝나면 창을 닫기, 파일 저장할때 항상 물어보기
- 탭 : 다중 탭을 열어서 Firefox 가 느려질때 알려주기 해제
- 내용 : 자바 사용 체크 해제, 고급 탭의 내용 모두 체크 해제
- RSS : HanRSS
ii) 플러그인 설치 : Tabmix Plus, Mouse Gesture, FasterFox, Gmail Notifier, Firefox Universal Uploader
iii) Tabmix Plus
- 링크 : target 속성이 있는 링크를 현재 탭에 열기 해제
- 동작 : 탭을 열때 -> 새 탭으로 열 것 -> 전부 체크
탭 활성화 -> 탭으로 열때 탭을 활성화할 것 -> 전부 체크
- 겉모양 : 탭 막대 -> 탭 막대가 너무 길때 -> 여러 줄로 나누기
탭 -> 강조하기 -> 현재 탭 체크
- 마우스 : 마우스 클릭 -> 두번 클릭 -> 탭 위에서 -> 탭 다시 읽기
가운데 클릭 -> 탭 위에서 -> 모든 탭 다시 읽기
- 세션 : 내장된 세션 복구 기능 쓰기 해제
세션 관리자 사용 체크
iv) Mouse Gesture
- 일반 : 제스처 편집 -> 브라우저 -> 문서 닫기 -> D
- 보기 : 마우스 자취 남기기 체크
v) 기타 설정 : about:config
- 검색엔진 변경 : 구글과 네이버만 남기고 모두 삭제
- 기본 검색 변경
Keyword.URL => http://www.google.com/search?ie=UTF-8&lr=lang_ko&btnI=&q=
- 캐쉬 옮기기
생성 -> 문자열 browser.cache.disk.parent_directory : 캐쉬 디렉토리 주소
- Firefox 마우스 휠 감도 조절
mousewheel.withnokey.numlines : 1 => 12로 조정
mousewheel.withnokey.sysnumlines : True => False
- Firefox 속도 향상
검색어 : pipe
network.http.pipelining : true
network.http.pipelining.maxrequests : 4 => 25
검색어 : browser.sessionhistory
browser.sessionhistory_max_total_viewers : 0
2) 오픈오피스 설정
i) OpenOffice.org : 메모리 -> 그래픽 캐시 -> OpenOffice.org 용으로 사용 : 30MB
ii) OpenOffice.org 빠른 시작 ->시스템 시작시 OpenOffice.org 로드 해제
iii) OpenOffice.org Calc : 인쇄 -> 선택된 시트만 인쇄 체크
ii) OpenOffice.org 빠른 시작 ->시스템 시작시 OpenOffice.org 로드 해제
iii) OpenOffice.org Calc : 인쇄 -> 선택된 시트만 인쇄 체크
3) Cygwin 설정
i) 설치할 패키지
- Devel : autoconf
automake
expat
libiconv
libxml2
make
pkg-config
subversion
- Doc : docbook-xml 4.3
docbook-xslt
libxslt
ii) /etc/xml/catalog 에 추가
<rewriteSystem systemIdStartString="http://www.docbook.org/xml/4.3/" rewritePrefix="/usr/share/xml/docbook/4.3/"/>
- Devel : autoconf
automake
expat
libiconv
libxml2
make
pkg-config
subversion
- Doc : docbook-xml 4.3
docbook-xslt
libxslt
ii) /etc/xml/catalog 에 추가
<rewriteSystem systemIdStartString="http://www.docbook.org/xml/4.3/" rewritePrefix="/usr/share/xml/docbook/4.3/"/>
4) 기타 프로그램 설치 및 설정
i) TortoiseSVN
ii) Pmon : 라우터 모니터링
iii) Symantec Ghost Corp
iv) VirtualBox 1.4.0
v) Filezilla Server : UTF-8 패치 할 것
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/showfile ··· 3D171626
vi) KMPlayer
- 자막 오버레이로 보이기(alt+r)
- 파일 연결
- 재생 위치 기억
vii) 알송
- 핫키 활성화
viii) XnView
- 마우스 휠 동작 수정
ix) 동키호테 2.40
- 업로드 제한 설정, 윈도우즈 시작시 자동 시작 해제
- 임시, 완료 폴더 수정
- 서버 리스트 조정
x) gimp
- gtk+ 함께 설치. MS Windows Engine 체크 해제
- 브러쉬 크기 조절 관련 설정 변경
xi) 오페라 : 설정 따위 안함. 설정 백업 덮어씌우기 끝. 다 잊어버렸음 =ㅅ=
xii) Foxit Reader 에 PDF 파일 연결
xiii) 바로가기 만들기 : FileZilla, Notepad++, Webma2, X-irc
xiv) TaskManagerExtension
ii) Pmon : 라우터 모니터링
iii) Symantec Ghost Corp
iv) VirtualBox 1.4.0
v) Filezilla Server : UTF-8 패치 할 것
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/showfile ··· 3D171626
vi) KMPlayer
- 자막 오버레이로 보이기(alt+r)
- 파일 연결
- 재생 위치 기억
vii) 알송
- 핫키 활성화
viii) XnView
- 마우스 휠 동작 수정
ix) 동키호테 2.40
- 업로드 제한 설정, 윈도우즈 시작시 자동 시작 해제
- 임시, 완료 폴더 수정
- 서버 리스트 조정
x) gimp
- gtk+ 함께 설치. MS Windows Engine 체크 해제
- 브러쉬 크기 조절 관련 설정 변경
xi) 오페라 : 설정 따위 안함. 설정 백업 덮어씌우기 끝. 다 잊어버렸음 =ㅅ=
xii) Foxit Reader 에 PDF 파일 연결
xiii) 바로가기 만들기 : FileZilla, Notepad++, Webma2, X-irc
xiv) TaskManagerExtension
댓글 영역